☞ 자료 마당
면접 볼 때, 지식보다는 인품이 우선되어야
최 낙출
2017. 1. 29. 16:27
면접 볼 때, 지식보다는 인품이 우선되어야....
면접 볼 때, 지식보다는 인품이 우선되어야....
사람을 뽑을 때는 소질이 아닌 태도를 보고 사람을 뽑아야 한다.
조직은 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그건 제 일이 아닌데요’ 하고 말하는 사람이 아닌,
제가 어떻게 도와드릴까요’ 하고 묻는 사람을 원한다.
지식보다는 인품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사람을 뽑는 다는 것이다.
능력은 교육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지만,
사람의 태도는 즉, 인성은 교육으로 쉽게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포시즌스 호텔, 이사도어 샤프회장는
호텔리어(경영자)의 가장 큰 자질은 소질(aptitude)이 아닌
태도(attitude)라고 했다.
인재는 인품=인간품질(Man Quality)이다.
-------------------------------------------------------------
능력개발 연구가 데니스 웨이틀리는 승자의 강점은 출생,
높은 지능, 뛰어난 실력에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바로 소질이나 재능이 아닌 오직 태도(인성,인품)에 있고
태도를 보면 그 사람의 성공을 가늠할 수 있는데,
이런 태도는 아무리 많은 돈을 주어도 살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인간에게는 인품이라고 하는 인간품질(Man Quality)지수가 있는데
이 인간품질(MQ)지수가 낮은사람은 소질, 재능 또한 좋치 못합니다.
해서,
여러 사람들과의 대화와 이해 속에 스스로의 깨우침으로
자신의 인성, 인품 지수를 높혀야 폭 넓고 더 높은 곳으로
향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제가 직장생활 중역시절
서울 구로공단, 경북구미공단, 인천남동공단, 충북진천 농공단지,
중국닝보/ 텐진/심천/영성/위해/장춘. 베트남, 태국, 일본, 독일
회사에서 긴 세월동안 수천명 면접을 보았을 때
중국닝보, 텐진, 장춘에서 면접을 볼 때에는
2~3천명 이상이 면접을 보려고 몰려왔는데 3박4일씩
면접을 보았습니다.
학문이나, 전문지식보다도 더 중하게 면접을 본 내용은
인성과 인품이었습니다.
면접 결과, 합격자들은 어리둥절했었습니다.
불합격인 줄 알았는데 합격이 되었으니 말입니다
입사된 이후에는
분야별도 전문교육을 시켜 참다운 직장인으로 육성시켜 갑니다.
인성과 인품지수가 높은 젊은 청년들 이었기에
결과는 성공적이었습니다.
데모도 없고, 노조도 없고, 회사는 번창해 갑니다
인성이 옳바른 젊은 직장인들도 회사와 함께 성장해 갑니다.
이 젊은 직장 청년들은 배은망덕하지 않았습니다
채용해 줘서 고마워 했고
월급 주면서 가르쳐주니 고마워 했고
직장의 초년생을 우수한 고급간부로 키워 주니
그에 대한 배려와 고마움을 느끼면서 회사에 충성합니다
정직하고 옳바른 직장인으로서의 우뚝 선 기둥이 되어갑니다.
승승장구 뒤에는 부하들이 생기고...
배운대로 부하를 가르치는 직장의 스승이 되는 것입니다
요즘세상은 인간(조직)의 5복 중에 한복이 직장의 상사를
잘 만나는 것입니다
---------------------------------------------------------------------
선진국으로 가기위해서는 우리 국민들의 인성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기적, 개인적, 기회주의적인 사람들이 많은 국가는
내전 또는 불화(분열)로 나라의 경제는 물론
모든 면에서 뒤쳐지게 되며 나라는 어려워 져
국민들도 함께 어려워 집니다.
직장이나 나라도 마찮가지입니다
구성원들의 인성과 인품이 그 직장과 그 나라의 흥망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직장의 풍토나 나라의 풍토도 결국은 그 구성원들의
인성(인품)에서 만들어 진다고 봅니다.
감사합니다. 2016.12.21. 사)창환협 회장 김대윤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