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당 이유신(石塘 李維新)
본관 청주. 자는 사윤(士潤), 호는 석당(石塘)
조선 후기 화가로 남아 있는 작품들은 대부분 산수화로
물기 머금은 윤필(潤筆)로 다루어진 간결한 형태와
밝고 투명하게 선염된 고운 담채가 돋보이며
조선 말기에 대두되는 이색적 화풍과
상 통 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주요 작품으로 운산도, 양류노주도 등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1753년(영조 29)종묘의 제사를 지낼 때
궁위령으로서 참여하였고 그 공으로 품계가 승진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또, 조선 후기의 학자 유재건(劉在建)이 쓴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에는 그가 그림을 잘 그렸고
돌을 좋아하는 성품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어느 해 정초에 신위(申緯)의 집에
세배를 갔다가 그곳에서 돌을 얻고 기뻐하였는데
그때 이미 그가 백발의 노인이었다는설명이 부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