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야, 너 삼 만원만
주고 가거라".
"얘야,
너 삼 만원만 주고
가거라".
"없어요 "
80살이 넘은 아버지가
회사에 출근하는 아들에게
사정을 했건만
아들은
박정하게 거절을 하였다.
늙은 아버지는
이웃 노인들과 어울리다
얻어만 먹어 온 소주를
한 번이라도
갚아주고 싶었다.
설거지를 하다 부자간의
대화와 아버지의
그늘진 얼굴을 훔쳐본 며느리는
한참 무엇을 생각하더니
밖으로 달려 나갔다.
한참 만에 버스를 막 타려는
남편을 불려 세워 숨찬 소리로
손을 내 밀었다.
"여보, 돈 좀 주고가 요".
"뭐 하게? "
"얘들 옷도 사 입히고
여고 동창생
계 모임도 있어요".
안 주머니에서
오만원 가량을 꺼내 헤아리며
담배값이,
차값이 어쩌니
대포값이
어쩌니 하는 것을
몽땅 빼았아 차비만 주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리고는 아파트
양지바른 벽에 기대
하늘만 바라보는 시아버지께
돈을 몽땅 내밀었다
"아버님, 이 돈으로 드시고 싶은
소주도 잡수시고,
친구들과 대공원에도 가고,
하고 싶은 대로 하세요".
연신 눈물이 쏟아지려는
시아버지는 며느리가 고마워서
말을 잊은 채 어떻게 할지 모르는
표정 이었다.
그날 저녁에 남편이
퇴근하고 돌아왔다.
그리고는 왜 얘들
얼굴에 꾸중물이 찌찌하게
이렇게 더럽느냐고 말했다.
그 이튿날도
또 그 다음 날도 애들 꼴이
더러워져 가고 있었다.
새까만 손등이며,
며칠 전 까지만 해도 반드레하던
얘들이 거지꼴로 변해갔다.
남편은 화를 벌컥 내어
고함을 쳤다.
"여편네가 하루 종일 뭐 하길래
애들 꼴을 저렇게 만들어 놓았어?"
남편의 화난 소리를 듣고 있던
아내도 화를 내어 남편에게
소리를 질렀다.
"저 얘들을 곱게 키워봐야
당신이 아버지께 냉정히
돈 삼만원을 거절 했듯이
우리가 늙어서 삼만원
달래도 안 줄거 아니예요?
당신은
뭣 때문에 얘들을 깨끗이
키우려고 해요?".
아내에게
기가 질려버린 남편은
고개를 들지 못하고
늙은 아버지의 방문을 열었다.
늙은 아버지는 아들의
무정함을 잊은 채
어서 방으로 들어오라고 했다
늙은 아버지는
"회사일이 고되지 않느냐?"
"환절기가 되었으니
감기에 조심해야 한다" 고
어린애처럼 타이르고
있는 것이다.
아버지의 더 없는 사랑에
아들은 그만 엎드려
엉엉 울고 말았다.
독일의 속담에도
"한 아버지는 열 아들을
키울 수 있으나
열 아들은 한
아버지를 봉양키 어렵다"
는 말이 있다.
자식이 배부르고 따뜻한가를
늘 부모는 묻지만,
부모의 배고프고 추운 것은
자식들은 마음에 두지 않는다.
자식들의 효성이 아무리 지극해도
부모의 사랑에는 미치지 못한다.
우리는 부모가 짐이 되고
효가 귀찮게만 생각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나
효는 옛 부터 가족을 사랑으로
묶는 밧줄과 같은 것이다.
효의 씨앗을 심고 가꾸는 일은
부모가 자식에게 효를
내리 실천해
모범을 보이는 일이
꼭 필요하다.
우리 벗님들~!
健康 조심 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한잔 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