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마당

채명신 사령관 Vs. 참외값 받아내려는 성주주민

최 낙출 2016. 8. 14. 15:35

       


채명신 사령관 Vs. 참외값 받아내려는 성주주민
채명신 사령관이 마지막으로 택하신 길은
우리나라 모두의 심금을 울리는 표상으로 길이 남을 것이다.
그는 8평짜리 장군 묘를 버리고, 1평짜리 병사들과 함께 누워있다 .
 
이역만리 상하의 뜨거운 전쟁환경에서 그와 함께
세기에 빛나는 한국군 전쟁사를 창조했던 전우들 곁으로 간 것이다.
그리로 가면서 “나 여기 묻히노라” 따위의 생색을 내지 않았다.


평소 그가 보여준 언행들을 가장 잘 반영하기 위해
나는 그의 표지석에 그가 병사들에게 바치고 싶은 말씀을 정리했다,
여러 날 여러 개의 글을 쓰고 버렸다.
마지막으로 남은 글이 바로 “그대들 여기 있기에 조국이 있다”는 짧은 글이다.
 
평소에 자기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 마지막까지 옛 전우들에 봉사하고 가신 분이
가장 함축성 있게 남기고 싶은 말씀이 바로 이 말씀이었을 것이다.
 
장례 행사에서 설교와 기도를 맡았던 특전사령부 군목인 모 중령은
이 한 마디의 말씀이 양서 수백권을 대표하는 말씀이라고 극찬을 했다 ..
없는 업적도 있는 것처럼 조작하고,
조그만 명분도 크게 부풀려 생색을 내는 것이 세상 사람들의 행태인데,
이 말씀에는 “내가 없다”는 것이다.
영문 번역은 영문 전문가이자 채명신 장군을 마지막까지 자발적으로 보좌한
정재성(stallon) 전우가 했다.
"Because you soldiers rest here, our country stands tall with pride.".
 
그리고 이 표지석을 마련하기 위해 정재성 전우가 많은 고생을 하였다 .
기술자를 찾는 데에도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고 , 많은 고생을 거쳐서야
비로소 만족할만한 작품을 완성해 오늘과 같은 명품을 설치하게 되었다 .


.
 
한 개라도 더 챙기고자 하는 세상에서 채명신 사령관이 보여준
무욕의 길과 부하사랑의 길은 분명히 아름답고 감동적인 것이다.
하지만 국가를 마구 파 먹어야 하는 대상으로만 아는
개돼지들이 우글거리는 이 사회에는 아무런 메아리가 없다.
 
멋과 아름다움과 신선함에 감동하지 않는 이리떼 사회 ,
소돔과 고모라성도 이처럼 더럽지는 않았을 것 같다.
그와 함께 이역만리 생지옥 같은 전쟁터에서
온갖 고생을 다 하다가 꽃다운 나이에 전사한 장병들의 삶과
그들이 남겨준 유산에 대해 성주사람들은 잠시나마 생각해 보기 바란다.
 
나라를 위해 국민을 위해 전사한 병사들은 누구이고 , 참외 장사 안된다
나랏돈 받아내려는 성주 사람들은 누구인가 ?
글쓴이 : 지만원


'☞ 자료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낭만적인 섬 순위◈   (0) 2016.08.16
운현궁은 왕실문화의 전당.  (0) 2016.08.14
엉뚱한 5억원 횡재   (0) 2016.08.12
박지원 고발장소 변경 긴급공지   (0) 2016.08.12
연우회(硏友會)  (0) 2016.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