콰이강의 다리 촬영지 현장을
가다.
태국의 방콕으로부터 서북쪽으로 115km에칸차나부리라는 도시가 있고 콰이강 위에 건설된 다리가 "콰이강의 다리" 이다.
이 다리가 유명세를 타고 꾸준히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이유는
데이비드 린 감독의 1957년작
영화
"Bridge on the River
Kwai(콰이강의 다리)"의
역활이 컸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이 이 곳을 찾으면서 영화의 내용은 잘
알면서도
모르고 지나가는 것이
일본군 군속으로 이 다리 건설에 참여했던
조선인 중 52명이 일본인으로서 전후 유죄판결을
받고
처형되거나 후에 사면되었으나불행한 생을 살았다는 것이다.
-콰이강의 다리 가는 길-

** 콰이강은 비교적 수심이 깊고 수량도
풍부하며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강력한 스피드 보트가 아니면 운행이
어렵다.
-스피드 보트로 콰이강을 역류하는
관광객들-

- 리버 콰이 리조텔(River Kwai resotel)
선착장-

**방콕에서 콰이강의 다리까지의 중간
지점에하룻밤 묵어갈 수 있는
리조텔이
있는데,육로로도
들어갈 수 있으나 스피드 보트로 깊은 계곡물을
역류하여들어가는 것이 더 운치가
있다.
- 리조텔
안내판-

** 계곡 맞은 편 언덕 위(표고 약 100m)에 조성된대단지의 리조텔은 외모로는 현대식 물건이 전혀 보이지 않는완전 토속식의 리조트이다.
-클럽 하우스 내의 식당과 안내
데스크-

- 클럽 하우스
테라스-

-숲 속에 지어진
방갈로우들-

- 2층짜리
방갈로우-

**필자가 묵었던 연못 옆에 있는첫 번째 2층짜리 숙소(안내판)는
단지 내에 4채가
있다.
-숙소
내부-

** 샤워시설이
있다.-단지 중앙 연못 위에 있는 컨벤션
센터(?)-

-방갈로우 주변의 열대
식물들-




-도로 가에 마련된 살아있는 신(?) 푸미 폰 국왕의 어진(?)을
모신 제단-

-콰이강의 다리 옆의
상점들-

** 이 곳을 찾는 많은 서양인들
중에상당수가 러시아 인들이라고
했다.
-콰이강과
철교-

-콰이강의 다리와 철도를 설명하는 모형
동판-

** 위의 모형은 이 곳보다 조금 상류에
있는원래 콰이강의 다리에 있는 것을
설명을 위해 앞으로 내놓은 것이다.
사판(모형) 오른 쪽 아래에 보이는 1번
위치에Original "콰이강의 다리"가 있다.
이 곳이 칸차나부리로 일본군의 본부와
베이스 캠프가 있었고
주변에 희생자들의 묘지가
있다.
다음 사진의 목조 철교는 오리지날
철교보다약간 하류에
위치하지만,
영화의 장면과 가장 비슷한 모양의 목조
철교라서이 곳을 찾는
것이다.
콰이강은 두 개의 지류가 평행으로
흐르다가칸차나부리에서 합류한다.
북쪽 콰이강은 콰이 야이(Kwai Yai)라고
부르고,남쪽
콰이강은
콰이 노이(Kwai Noi)라고 부른다.콰이강의 다리는 콰이 야이
위에 건설되어
있다.
-영화의 장면과 가장 비슷하다는 목조
철교-

- 영화 "콰이강의 다리"에 등장하는 목조다리-

-영화의 한 장면을 화상하며 걸어볼 수 있는 목조
철교-

** 이 철교 주변에는 어떤 안내판이나 설명도 없다.
다만 상술이 이 곳으로 관광객을 유인하는
것이아닌가
생각된다.
"콰이강의 다리"가 촬영된
곳은스리랑카의 암베푸사(Ambepussa)라는
곳을 포함하여
다섯 곳에서
촬영되었다.
- 목조 교각-

**암벽을 깎아내리며 난공사를 했던 곳이라 길은 없지만
필자는
굳이 교각까지 내려가
보았다.
-철교 옆 동굴 사원-

** 철교 옆에는 깊지는 않으나 커다란 동굴이
있고여기에
불상이 안치되어
있다.
-콰이강의 다리-

-콰이강의
다리-

-콰이강 상류 쪽으로 이동하는
바지선-

-콰이강의 다리 오른편의 수상
위락시설들-

-태극기
휘날리며,,,,,,,-

-동쪽(건너 쪽)에서 본
다리-

**연합군 포로들이 건설했던 다리는영화에서처럼 특공대원 윌리암
홀덴에
의해폭파되는 것이 아니고, 미군의 폭격기에 의해 폭파된다.
이 철교는 후에 미군에 의해 재건된
것이다.
-전범자 일본이 사용하던 다리 옆에 전시된
증기기관차-

** 전시된 두 대의 기관차 중 한 대의
앞에는"구형 C5 기관차 보존회"
라는 일본인
단체가 1977년 2월 7일 기증한다는 일본말 표지가
붙어있다.
-팽창주의 중국사람들의
흔적-

**철교 끝 왼쪽에는 화군비(華窘碑)라는기념중국군대의 참전을
하는 비가
있다.자그마한
오벨리스크 형태의 비석에는"외로운 군인
영원히
잠들다(孤軍永睡)"라는 비문과"중국 원정군의 전공이 하늘처럼 높다
(中國遠征軍功高如天)라고 쓰여 있다.
옆의
현수막에는"중국원정군 전사자 영면"이라는 글도
보인다.
2차대전 시 태국전선에 중국군이 참전했다는 것도
금시초문...
-철도공사에 한국인이 참여한 증거-

** 앞서 소개한 사판 오른편 상단에는일본과 한국인 10.000명이 참여한
것으로
되어있고,이중 상당한
한국인이 전후 전범자로처형되거나
비참한 생을 마쳤지만
잊혀진
역사로 누구 하나 관심도 없다. 명품이 거기
있었다면 당장 소문이
났겠지만....
중국, 일본 사람들과 한국인의
차이인가? 이 동판 옆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의 글을
새긴또 하나의 동판이 설치되어
있다.
2차대전 중 약 700명의 미군포로는태국과 버마로 이송되어 포로수용소에
수용되었고
태국--버마간 철도 건설 프로젝트에
투입되었다.
이들 중 질병, 영양실조, 과로, 그리고 육체적인
혹사로사망한 356명의 장병을
특별히 기리고자
한다.
-제5지구(태국) 해외 참전 미국
재향군인회-
-연합군 전몰 장병
묘지-


** 이
묘지에는영국, 네델란드, 호주, 미국 등 6,982명이 묻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