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종의 유래
조국을 위해 목숨바쳐 싸운 애국 선열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들의 충성스런 절개를 기리고
이어가기 위해 제정된 날이
바로 현충일입니다. 현충일이
6월 6일로 제정된 것은
'망종'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망종이란 무엇일까요? 망종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는 뜻깊은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4절기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들며 음력 5월,
양력으로는 6월 6일 무렵이 된다 태양의 황경이 75도에 달한 때이다. 망종이란 벼, 보리 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시기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이다. 그러므로 망종 무렵은 보리를 베고 논에 모를 심는
절후이다.

망종의
유래 1. 가장 좋은 날
옛 속담에 "보리는 망종 3일전에는 베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 망종(芒種)이란 1년중 벼나 보리 등의 씨앗을 땅에 뿌리기에
가장 적당한 날을 의미합니다. 즉,
망종이란 24절기중 하나로서 풍요를 약속하는 '가장 좋은 날'의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 망종이 일찍 들면 그 해 농사가 풍년이고 늦게 들면
나쁘다고 합니다. 망종을 넘기면
모내기도 늦어져 수확이 어려워 지는 것입니다.
망종의
유래 2. 현충일 제정일
그리하여 예부터 망종이 드는 시기를 보고 그 해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점친다고
합니다. "망종이 4월에
들면 풋보리를 먹게되고, 5월에 들면 풋보리를 못 먹는다"는 옛말과 속담이 유래하게된 연유입니다. 부연설명을 하자면
현충일이 6월 6일로 지정된 이유는 현충일 제정 당시 그 해의 '가장 좋은 날' 즉, 망종이 6월
6일이었다고 합니다.
지역사례 경남 도서 지역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안 좋고 빠르게 들어도 안 좋으며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한다. 특히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으며, 망종이 일찍 들면 보리농사에 좋고, 늦게 들면 나쁘다는 말도
있다. 부산 남구와 강서구 구랑동 압곡에서는 망종에 날씨가 궂거나 비가 오면 그해 풍년이 든다고
한다.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모은 뒤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채로 쳐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한다.
전남 지역에서는 이날 ‘보리그스름(보리그을음)’이라 하여 풋보리를 베어다 그을음을 해서 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한다. 보리가 잘 여물어 그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이날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날 먹는 곳도 있다. 이렇게 하면 허리 아픈 데 약이 되고, 그해에 병이 없이 지낼 수 있다고 믿었다.
또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치면 그해의 모든 일이 불길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날 우박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말하기도 한다. 전남과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