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이야기*
不欺自心
(불기자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자기
마음을
속이지 마라"
옛날 大學을 졸업하고 고시공부를 하던 한 靑年이 해인사
백련암 성철
스님 (1912~1993)을 찾아 갔다.
"스님 좌우명을 하나 주십시오."
삼천배로 녹초가 된
청년에게
스님이
말했다.
"쏙이지 말그래이."
굉장한 말씀을 기대했던 투박한 경상도 사투리로 툭
던지는 스님의 말에 失望해
떨떠름한 표정을 지었다.
"와 좌우명이 그래
무겁나, 무겁거든 내려놓고 가거라."
청년은 그 길로 머리를 깍고
出家했다.
성철스님이 입적할
때까지 꼬박 20년을
곁에서 모셨던 원택스님 이야기다.
"불기자심 (不欺自心)
"자신을 속이지 마라는 本來 성철스님
자신의 話頭였다.가끔 휘호로두 썼다고 한다.
백련암에는 성철 스님이 쓴 이 휘호가
액자로 걸려 있다.
한때 세상을 속일 수는 있어도
"자기 마음"을 속일 수는 없는 법.
"산은 산 물은
물"과
함께 성철 스님의
"불기자심"은 서릿발 같은 자기 성찰과 실천행을 강조하는
죽비소리로 세상에 남았다.
유교
四書(사서)의
하나인"大學"에서는
이를 신독 (愼獨)
이라고 했다.
역시 "홀로(獨) 있을때 삼가야 (愼) 한다"는
뜻이다.
조선 명종 때 문신 이었던 임권의 좌우명이 "獨處毋自欺 (독처무자기)였다.
"홀로 있는 곳에서도 자신을 속이지
마라"라는 뜻이다.
조선 선조 때 유학자인 김집은 호가 愼獨齋 (신독재)였다.
그의 묘비에는
"혼자 갈 때
그림자에
부끄러울 것이 없고,
혼자 잘 때 이불에도
부끄러울 것이 없다.
는 내용이 들어 있다.
참으로 무서운
다짐이고 당당한 자기확신이다.
성경의 갈라디아서에도
비슷한 내용이 들어
있다.
"자신을 속이지 마라. 하나님은
무엇을 심든지 그대로 거둘 것이다.
"심은 대로 거두리라"
'☞ 귀감이 되는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번씩이나 읽어봐도 또 읽어봐도 재밌네요. (0) | 2018.01.05 |
---|---|
씨(Seed)가 필요없다 (0) | 2018.01.03 |
힘을 받은, 한마디의 '말 (0) | 2017.12.28 |
새겨볼만한 글 (0) | 2017.12.23 |
이래도 한 세상.저래도 한 세상 ~ (0) | 2017.12.23 |